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방법. 조건부터 신청 절차까지 한 번에 정리!

반응형

 

요즘 전세계약할 때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여부를 꼭 확인하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솔직히 예전에는 "그거 꼭 들어야 돼?" 싶었는데, 요즘은 보증보험 없으면 전세 안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예요.

저도 이번에 전세계약을 앞두고 처음으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을 가입해봤는데, 생각보다 간단하면서도 든든하더라고요.

오늘은 저처럼 처음 가입하시는 분들을 위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이 뭔지, 가입 조건은 어떤지, 어디서 어떻게 신청하는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etc-image-0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이란?

간단히 말해,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 경우, 보증기관이 대신 물어주는 제도예요.

  • 집주인이 도망가거나, 집이 경매에 넘어가도
  • 보증기관이 먼저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줌
  • 그 후 보증기관이 집주자에게 구상권 청구

즉, 세입자 입장에서는 마지막 안전장치 같은 거죠.

가입 가능한 기관은 어디?

대표적으로 두 군데가 있어요:

두 기관 다 보증 기능은 같지만, 조건과 수수료 등이 조금씩 달라요. 아래에서 각각 정리해드릴게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조건 (HUG 기준)

  • 전세계약서가 반드시 필요 (종이 또는 전자 계약 가능)
  • 임차인이 전입신고 + 확정일자를 완료한 상태여야 함
  • 보증금 상한선 있음 (서울 기준 7억 원 이하)
  • 보증보험 가입 신청은 계약 후 1개월 이내 권장

주의: 집주인이 세금 체납 중이거나, 이미 근저당이 높게 잡혀 있으면 가입 거절될 수 있어요.

신청 방법은? 직접 or 대행 둘 다 가능

1. 온라인 신청 (비대면)

HUG 또는 SGI 공식 홈페이지에서 본인 인증 후 신청서 작성 → 서류 업로드 → 수수료 납부 → 보증서 발급

2. 오프라인 방문 신청

  • HUG 지역지사 방문 또는 SGI 영업소에서 접수
  • 신분증, 계약서, 전입신고 확인서류, 확정일자 서류 등 준비

이런 경우는 가입이 어려울 수 있어요

  • 집이 근저당 설정금액 + 전세보증금이 시세 초과인 경우
  • 임대인이 채무불이행자, 세금 체납 중일 경우
  • 신축 빌라 등 감정평가가 불가하거나 기준 미달인 경우

그러니까 계약 전부터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는 꼭 미리 부동산 통해 확인하세요.

마무리하며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요즘같이 전세사기 사례가 많은 시기에는 진짜 보험 하나 들어놓는 기분이에요. 또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에 가입하신 분들을 위해 보증료 지원제도도 각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

✔ 계약 전, 해당 주택이 보증보험 가입 가능한지 확인 ✔ 계약 후, 전입신고 + 확정일자 + 빠른 신청 진행 ✔ 수수료 부담보다 내 돈을 지키는 게 우선!

전세계약 앞두신 분들, 이 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고요, 필요하시면 전세보증보험 가입 체크리스트 도 따로 정리해드릴게요 😊

반응형